300x250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에서의 이드, 자아, 초자아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격을 구조화 하면서, 이드와 자아, 초자아 세 가지 구조의 역동이 인간의 성격을 구성한다고 보았다. 그는 본능적인 이드, 현실적인 자아, 그리고 도덕적인 초자아 중에서 어떤 성격 구조가 우세하는가에 따라 성격이 다르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예를 들면, 이드가 강한 사람은 매우 충동적이며 쾌락을 좇는 성격이 나타나고, 자아가 강한 사람은 현실에 잘 적응하는 성격이 나타나며, 초자아가 강한 사람은 매우 금욕적이고 도덕적인 성격이 나타날 수 있다.
프로이트가 제시한 성격의 세 가지 기본 구조 -이드, 자아, 초자아- 는 실제 성격의 구조를 나타내기보다는 '가설적 구조'로 이해해야 한다.실제로 중추신경계 내의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을 만큼 현재의 신경해부학이 발달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프로이트는 "내 생애의 목표는 오직 하나였다. 성격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와 어떤한 힘이 이 구조 속에서 상호작용하고 반작용하고 있는지를 알아내는 일이었다."라고 말할 정도로 성격의 구조와 역동성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이드는 모두 무의식에 해당하며, 자아나 초자아는 무의식과 전의식 및 의식을 포함한다. 무의식은 세 가지 성격 구조를 모두 포함하지만, 주로 이드로 구성되어 있다.
- 이드는 라틴어의 'It'에서 유래하였으며, 생물학적인 반사를 뜻하는데, 이것은 출생 때부터 이미 존재하는 충동, 본능 등을 의미한다. 이드는 강력한 힘을 가졌지만, 이드의 힘을 적당히 이용하고 분배하기 위해서는 다른 존재에게 의지해야만 하기 때문에 줄곧 '눈이 먼 왕'에 비유되었다. 이드는 외부세계와 아무런 연결도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진정한 정신적 현실이라 볼 수 있으며, 정신적 에너지의 저장소이자 자아와 초자아가 분화되어 나오는 원천이다. 이드의 특징은 대상들 사이의 차이를 알아채지 못한다는 것이다. 즉, 현실과 현실이 아닌 것, 자기 자신과 자기 자신이 아닌 것을 구별해 내지 못한다. 배고픈 어린아이가 음식이 없을 때 자기 손을 입 속에 넣는것은, 음식과 자기의 손을 구별하지 못하는 이드의 작용인 것이다. 또한 정신병 환자의 경우 꿈을 현실로 믿거나 자신의 환상을 현실로 착각하는 증세를 이드의 예로 들 수 있다. 이드는 대상들 사이의 차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마치 동일한 것처럼 다루는 특징이 있다. 몇가지 예시로, 나무와 남성의 성기가 돌출해 있다는 특성 하나 때문에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고, 꿈에서 말을 타는 것이나 밭을 가는 것을 성교로 간주하며, 검은 것은 사악하고 더럽다고 하는 인종 편견 등의 현상을 들 수 있겠다. 이드는 충동을 저지하거나 지연시키는 능력이 없어서 쾌락 원칙을 통해 즉각적으로 긴장을 감소시키려고 한다. 따라서 반사작용과 일차 과정으로 긴장을 해소한다. 반사 작용은 재채기, 눈 깜빡임, 배뇨, 무릎반사, 성적 오르가슴 등과 같은 생리적인 자동 반응으로서, 에너지를 즉시 움직이는것에 소비하여 긴장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방광이 팽창하면 즉시 배뇨하는 것이다. 일차 과정은 긴장을 완화해 주는 대상을 심상으로 떠올려 긴장을 해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 예로, 배고픈 사람이 머릿속으로 김이 모락모락 나고 그 위에 완두콩까지 뿌려놓은 자장면을 떠올리는 것이다. 그런데 이드의 비극은 이런 주관적인 심상과 현실 속의 객관적 대상인 물체를 구별할 수 없다는 데 있다. 일차 과정으로는 근본적인 본능의 충족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아무리 맛있는 음식을 머릿속으로 떠올려 보아도 배고픔은 사라지지 않는다. 그리하여 나오는것이 바로 이차적인 심리 과정인 자아이다.이드로는 근본적인 긴장 해소를 할 수 없기 때문에, '동일시'라는 과정을 통해 자아가 탄생한다. '동일시'란 정신적 심상과 물리적 대상, 즉 마음속에 있는 것과 외부세계에 있는 것을 동일하게 일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배가 고픈 사람이 머릿속에 비빔밥이 떠오르면 음식점에 가서 비빔밥을 사 먹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음속의 심상을 현실의 대상과 일치시켜 긴장을 해소하는 것을 이차 과정이라 한다. 배고픈 사람의 경우 긴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마음속에 있는 음식물의 심상과 실제 음식물을 구별해야 한다. 그리고 나서 음식을 구하는 방법을 생각하고, 어떻게 할지 결정한 다음 실제로 음식물을 먹는다. 이렇게 해야 비로소 긴장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 자아는 현실원칙을 따른다. 즉, 욕구 충족을 위한 적절한 대상과 방법이 발견될때까지, 혹은 적절한 환경 조건이 갖추어질 때까지 긴장 해소를 보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자아는 환경과 여건을 다방면으로 고려하여 욕구를 만족시킬수 있는 방법을 결정한다. 배고픈 사람은 어디에서 음식을 먹을 수 있을지를 현실적으로 생각하고 나서 그곳으로 간다. 이러한 과정을 현실 검증이라 한다. 이렇듯 자아는 현실을 무시하고 쾌락의 원리에 입각한 이드의 작용과 이드에서 파생된 초자아의 작용 사이에서 조정을 하는 중재자 역할을 하게 된다.
- 초자아는 부모와 상호작용하면서 발달 되는데, 부모가 제공하는 보상이나 처벌에 대해 반응하는 과정, 오이디푸스 및 엘렉트라 콤플렉스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발달된다고 보았다. 다시 말해서, 초자아는 부모나 사회의 전통적 가치와 도덕, 윤리체계, 사회규범, 행동 기준, 이상 등이 개인에게 내면화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초자아는 성격의 도덕적 측면이며, 현실보다는 이상을, 쾌락보다는 완성을 위해 작용한다. 프로이트는 초자아를 2개의 하위 체계로 나누었다. 양심과 자아 이상이 그것이다. 부모가 자녀의 행동에 대하여 부적절하다고 꾸짖거나 처벌하는 것은 자녀의 양심을 발달시키며, 자녀의 죄책감 형성의 기초가 된다. 반대로 부모가 자녀의 행동을 인정해 주고, 칭찬해 줄 때 자녀의 자아 이상이 발달하며, 이는 긍정적인 자존감 형성의 기초가 된다. 초자아가 발달하면 부모에 의해서 통제되던 것에서 벗어나 이제는 초자아에 의한 자기 통제가 가능해진다. 하지만 이와 같은 초자아에 의한 자기 통제는 현실의 원칙에 의한 것이 아니다. 초자아는 이드의 충동을 조절하는 동시에 현실적인 것보다는 완전한 것을 추구하도록 자아를 설득한다.
300x250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 - 성격의 역동성, 정신현상 (0) | 2022.07.16 |
---|---|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 - 성격발달 (0) | 2022.07.16 |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 - 인간관 (0) | 2022.07.15 |
프로이트의 생애가 이론에 미친 영향 (0) | 2022.07.15 |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 - 출현배경 (0) | 2022.07.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