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에릭슨 심리사회이론 - 부적응의 원인과 증상

by 울디 2022. 7. 30.
300x250

부적응의 원인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에서는 자아가 환경과 적절한 상호작용을 하는 데 실패하여 발달단계별로 성취해야 할 발달과업을 이루지 못하고 위기에 빠질 때 부적응이 발생한다고 보았다. 대표적인 경우는 신뢰감이 잘 형성되지 않을 때, 정체감 확립이 실패할 때 그리고 자아 통합이 실패할 때 등이라고 하였다.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신뢰감 형성이 제대로 되지 않았을 때: 신뢰감이란 인생 초기 발달단계인 영아기에서 획득해야 할 과업으로 에릭슨은 신뢰감을 건강한 성격을 이루는 초석이라고 했을 만큼 신뢰감은 인간에게 중요하다고 보았다.
  2. 정체감 확립이 제대로 되지 않을 때: 청년기의 주요 과업인 정체감은 에릭슨의 이론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개념으로서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에 대한 내적인 확신이다. 자신에 대한 확신이 서지 않으면 매사에 자신이 없고 주도적인 인생을 살아가기가 어려우며, 이로 인해 여러 부적응 증세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3. 노년기에 자아 통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심리사회적 발달의 마지막 단계인 노년기는 자아의 발달보다는 자아의 통합이 이루어지는 단계다. 노년기에 자아가 통합되지 않으면 자신의 인생에 대한 후회나 실망 그리고 죽음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하여 여러 부적응 증상이 나타난다.

부적응의 증상

 에릭슨은 각 발달단계에서의 위기를 적절하게 해결하지 못하면 다음과 같은 부적응 증상이 나타난다고 설명하고 있다.

  1. 인간이 세상과 만나는 가장 첫 단계인 영아기는 성격 형성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이므로 이 단계에서 위기가 적절히 해결되지 못하면 불신감을 초래한다. 정신적인 증상으로는 영아에게 급성 우울증이 나타나고, 성인에게는 편집증(paranoia)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타인에 대한 신뢰감이 충분히 형성되지 못하는 경우, 외부세계와 단절되고 자기만의 세계에 갇히기 때문에 후에 정신분열증과 같은 증세에 시달릴 수도 있다.
  2. 유아기에서 자율성을 충분히 획득하지 못한 유아는 실행에 옮기는 것을 주저하고 매사에 자신이 없어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지 못한다. 이러한 이유로 유아는 도움을 계속 구하고, 타인이 자신을 위해 무언가 해 주기를 바라며, 어른이 되면 의존적 성격장애를 보이거나 강박적 행동을 나타내거나 피해망상과 같은 편집증을 나타낸다. 
  3. 학령 전기에서 주도성을 획득하지 못하면 죄의식을 가질 수 있다. 죄의식에 사로잡힌 아동은 체념과 자신에 대한 무가치감을 보인다. 이런 아동은 자신을 내세우는데 두려워하고, 동료집단에 소속되지 못하고, 어른에게 심하게 의존한다. 이들은 목표를 수립하고 추구하려는 목적의식이나 용기가 부족하다. 지속적인 죄의식은 우울증, 회피성 성격장애, 불감증 등 여러 가지 정신병리로 발전할 수 있다.
  4. 학령기에서 근면성을 성취하지 못하면 열등감을 갖게 된다. 이 시기의 아동은 학교를 다니면서 교육을 받는데, 그 과정에서 자신의 학습 수준이나 성적 등을 친구들과 비교하게 된다. 이때 자신이 친구들보다 못하다는 생각을 하면 열등감이나 무능력감을 느끼게 된다. 그 결과로 아동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잃게 되고, 사회 공포증이 나타날 수 있다.
  5. 청소년기에서 자아정체감을 확립하지 못하면 역할 혼미에 빠진다. 특히 적절한 성적 정체감을 발달시키지 못하면 '양성 혼란(bisexual diffusion)'을 초래하여 성적 정체감 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갈등에 빠진 이 시기의 청소년은 심한 무력감, 절망감, 무가치감 등의 우울증을 경험할 수 있다.
  6. 성인 초기에 타인과의 친밀감을 형성하지 못하면 고립감에 빠지게 된다. 타인과의 친밀함을 원만하게 형성하려면 먼저 자신에 대한 정체감이 확립되어 있어야 한다. 자신에 대한 확신과 믿음을 타인에게서 찾으려고 일찍 결혼을 하는 경우에 불행한 결혼 생활을 겪게 될 수 있다. 친밀감을 형성하지 못하면 자기도취나 고립감을 경험한다. 이런 경우에 자기애성 성격이나 반사회적 성격이 나타나기도 한다.
  7. 성인 중기에 생산성을 성취하지 못하면 침체에 빠진다. 침체는 심리적 무관심(apathy)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타인과 주변 환경에 아무런 관심을 보이지 않게 되고, 오로지 자신의 욕구만을 만족시키며 살아가는 것이다. 그런 사람은 대인관계에서 문제를 보이며, 사회공포증이나 회피성 혹은 분열성 성격장애 등을 보일 수 있다.
  8. 인생의 마지막 발달단계인 노년기에 개인은 자신이 살아온 삶을 돌아보며, 진정한 자아 통합을 이루어야 한다. 자신이 살아온 인생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면 후회와 슬픔에 빠지게 된다. 심할 경우 노인성 정신병(senile), 우울증(depression), 건강염려증(hypochondriasis)이 나타나며, 과대망상증을 초래할 수 있다.
300x25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