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칼 융 분석심리이론 - 성격발달의 특성과 발달단계

by 울디 2022. 7. 21.
300x250

성격발달의 특성과 발달단계

 융의 분석심리 이론에서 성격의 형성과 발달은 개성화 과정, 즉 무의식 속에 있는 잠재력인 자기를 찾아 실현하는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다. 성격발달 과정의 특성과 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성격은 집단 무의식과 그것의 발달에 영향을 받는다.
  2. 성격의 성숙은 평생에 걸쳐 진행되며, 생의 후반기의 개성화 과정에서 가속화된다.
  3. 인생의 전반기는 자아의 기능이 주를 이루고, 인생의 후반기는 자아와 자기가 통합되는 과장이 중요하다.
  4. 자기는 중년 시기에 나타난다. 융은 인생의 여러 단계 중에서 외부세계보다 내부세계에 집중하는 중년기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이를 연구하였다. 그래서 융의 분석심리학을 '생애 후반기 심리학(psychology of the afternoon)'이라고도 한다.

 결국 자기실현 과정은 태어나서 경험을 통해 형성된 '자아'가 인생 전반기에는 외부세계와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중년 이후 인생 후반기에는 자아가 내면세계의 요구에 귀를 기울여 무의식 속에 있는 자기를 인식하고 자기와 하나가 되어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는 과정을 말한다. 하지만 융은 인간의 성격발달에 대하여 프로이트처럼 발달단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는 않았다. 즉, 그는 각 단계에 해당하는 연력을 정확하게 제시하지 않으며, 아동기, 청소년기, 중년기, 노년기로 구분하였다. 인간의 출생부터 노년에 이르기까지 전 생애에 걸쳐 성격이 발달한다는 융의 관점은 에릭슨의 견해와 유사하다. 융이 각 발달단계에서 가장 관심을 둔 단계는 중년기라고 할 수 있다. 인생 전반에 걸쳐 발달하는 과정은 아동기, 청소년기, 중년기, 노년기로 구분하였다.

  1. 아동기: 이 단계는 프로이트의 구강기부터 남근기까지에 해당한다. 융은 아동기의 정신에너지가 주로 먹기, 잠자기 등과 같은 본능적인 것이라고 믿었다. 부노의 역할은 적절한 규율 안에서 혼란스럽지 않도록 아동의 에너지를 이끌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융은 아동 문제의 대부분이 가적에 원인이 있다고 보았기 때문에 부모 중 한쪽이나 양쪽의 문제가 해결되면 아동이 반항하는 행동이나 다른 문제는 줄어들게 된다고 하였다. 인간은 자신의 잠재력인 '자기'만을 가지고 태어나는데, 점선으로 표시한 자기는 무의식 속에 있어서 알 수 없다. 아동기에 부모나 사회와 관계를 맺으면서 자아가 출현한다.
  2. 청소년기: 이 시기는 프로이트의 발달단계인 성기기에 해당된다. 이 시기의 청소년들은 학교교육과 직업 선택과 같은 많은 인생의 선택을 하게 되면서 다양한 문제에 직면한다. 또한 그들은 이성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안을 포함하여 성적인 본능에서 생겨나는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그들은 성장하고 발달해 가면서 비교적 결정할 것이 거의 없는 아동기로 다시 돌아가기를 희망할 수도 있다. 청소년이 맞닥뜨리게 되는 이러한 갈등과 결정은 개인의 외향성과 내향성에 따라 다르게 다루어진다. 청소년은 여러 문제에 직면하게 될 때, 부모의 기대가 아닌 자신 스스로 대처할 수 있도록 자아 기능을 발달시켜야 한다. 청년기에 들어서면서 자신의 자아를 발견하여 자아가 확장되고, 자신의 페르소나에 대한 이해를 발달시키게 된다. 하지만 여전히 무의식 속에 있는 자기를 의식하거나 발견하지 못한다.
  3. 중년기: 이 시기는 에릭슨의 성인 초기에서 중기의 연령과 유사한 단계다. 융은 인생의 여러 단계 중에서 중년기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아마도 융 자신이 중년기에 위기를 겪었고, 그 위기 속에서 자신의 내면을 찾아가는 작업을 한 경험 때문이 아닌가 싶다. 이 시기의 사람들은 자신이 가진 직업, 가족, 사회 장면 등의 외적 환경에서 거의 안정을 찾는다. 따라서 자아는 거의 완성된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될 때 사람은 외부로 향하던 관심과 에너지가 자신의 내부로 향하게 되고, 자신이 본래 가지고 태어난 자기를 찾고자 한다. 즉, 융의 이론에서 중년기는 자기실현이 시작되는 단계라고 볼 수 있다.
  4. 노년기: 융은 이 시기의 사람들은 자신의 무의식에 많은 시간을 보내며, 삶의 경험을 돌아보고 거기서 의미를 찾는다고 하였다. 융 자신의 노년기도 인생을 반추하고 지혜를 발견하는 시간이었다. 또한 이 시기의 사람들은 죽음이라는 주제에 관심이 많다. 고릿츠(Goelitz, 2007)는 병에 걸려 죽음을 앞둔 사람들에게 꿈의 작업이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를 밝혔다. 융의 많은 내담자가 노년기에 속한 사람들이었는데, 그의 심리발달에 대한 견해는 연령에 관계없이 전 생애에 걸쳐 계속된다는 그의 신념이 반영되어 있다. 성인 후기와 노년기에 걸쳐 자기를 찾아 실현하는 과정에서 자기를 찾는 데 실패하거나 자아가 또 다른 자신으로 분열하면 부적응을 초래한다. 하지만 자신의 잠재력인 자기를 찾는 데 성공하고 자아가 자기로 수렴되면 자기와 자아가 일치하게 되어 자기실현이 이루어진다.
300x25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