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69 매슬로 자아실현이론의 인간관 매슬로 자아실현이론의 인간관 자아실현이론의 인간에 대한 관점은 낙관론적, 유전론적, 자유론적 그리고 전체론적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낙관론적 인간관: 매슬로는 다른 현상학적 관점을 가진 이론가들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본성을 긍정적 으로 바라보았다. 즉, 인간은 본질적으로 선하며, 자기실현의 욕구를 가진 존재라는 것 이다. 그는 인간의 악하고 파괴적이며 폭력적 요소들은 인간의 본성이 악해서라기보다 는 환경이 좋지 않은 데서 발생한 것으로 보았다. 즉, 인간은 환 경 조건만 적당하다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잠재 능력을 실현해 나갈 수 있는 창조적인 존재라는 것이다. 따라서 매슬로의 인간관은 낙관적이라고 볼 수 있다. 유전론적 인간관: 매슬로는 인간이란 자신의 인생에 대해 자유롭게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다는 실.. 2022. 8. 15. 매슬로의 생애가 이론에 미친 영향 매슬로의 생애가 이론에 미친 영향 매슬로는 1908년 미국 뉴욕 시의 브룩클린 근교에서 일곱 명의 남매 중 첫째로 태어 났다. 그의 부모는 러시아에서 이민을 온 유대인으로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이유로 그의 부모는 그가 학문적으로 성공하기를 간절하게 바랐던 것 같다. 이민을 온 대부분의 유대인이 열심히 살았던 것처럼, 그의 부모도 열심히 일을 하여 중류 층으로 살아갈 수 있었다. 매슬로는 자신의 어린 시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하고 있다. 나는 어린 시절에 정신이 돌지 않은 것이 이상할 정도였다. 나는 이웃에 유대인이 라고는 전혀 없는 곳에서 산 어린 유태계 소년이었다. 그것은 모두가 백인인 학교에 혼자 흑인인 처지와 비슷하였다. 나는 외로웠고 불행했다. 나는 친구도 없이 도서관 의.. 2022. 8. 14. 자아실현이론에 영향을 미친 이론 실존주의 철학: 실존주의(ecotentialism)는 인간을 존재 그 자체로 의미있는 존재로서,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만들어 가는 긍정적인 존재로 보고 있다. 또한 인간에게는 살아 있는 매 순간을 잘 활용하고, 자신의 능력을 최고로 발휘할 책임이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러 한 실존주의 철학의 기본가정은 매슬로의 자아실현이론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특히 매슬로의 이론에서 '형성(becoming)' 이라는 개념은 실존주의 철학에서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개념이다. 자아실현이론에서는 인간을 결코 제자리에 머물러 있지 않으며 항상 무엇인가 다른 존재가 되어 가는 과정, 즉 형성의 과정 또는 자아실현의 과정을 추구하는 존재라고 보았다. 후설의 현상학: 후설(Edmund Husserl, 1859~1938)로 대표되.. 2022. 8. 13. 매슬로 자아실현이론 - 출현배경 자아실현이론의 출현배경 자아실현이론은 인본주의적인 관점에 바탕을 둔 아브라함 매슬로(Abraham Harold Maslow, 1908~1970)의 성격이론이다. 인본주의 심리학의 출현 배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930년대는 유럽을 중심으로 인간의 정신 과정을 중시하는 정신분석이 출현하여 심리학의 제1세력을 이루었다. 1940년대는 미국을 중심 으로 정신분석을 비판하면서 학습 과정을 중시하는 행동주의가 출현하여 심리학의 제2세력을 이루었다. 1950년대에는 인간의 주관성과 존엄성을 중시하는 인본주의 심리학이 출현하여 제3세력의 심리학(third force psychology)을 이루었다. 자아실현이론의 바탕이 된 인본주의 심리학은 심리학의 제1세력이라 불리는 정신분석과 제2세력이라 불리는 행동주의를 .. 2022. 8. 12. 커텔 특질이론 - 도식화의 종류 도식화의 종류 커텔의 특질이론에서 주요 개념으로는 역동적 격자 도식, 요인 분석, 열거방정식 등 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역동적 격자(dynamic lattice) 도식: 역동적 특질인 에르그, 감정, 태도가 도식으로 표현된 것을 말한다. 커텔은 인간의 여러 가지 행동은 서로 관련이 있으며, 역동적 특 질인 에르그와 감정 그리고 태도 등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보았다. 이 세가 지 특질은 서로를 보조(subsidization)함으로써 상호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 면, 태도는 감정에 보조적이고, 감정은 에르그에 보조적이다. 그리고 같은 태도 수준에 서 하나의 태도는 다른 태도에 보조적이 된다. 한편 에르그에서 감정으로 그리고 태도 로 가면서 동기 과정이 더 구체적이.. 2022. 8. 11. 커텔 특질이론 - 성격발달의 원인과 발달단계 성격발달의 원인 커텔은 인간의 성격은 유전과 환경 두 가지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하였다. 유 전적인 요인은 개인이 환경 속에서 하는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환경적인 요인 또한 개인의 성격발달에 기여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인간의 성격은 유아기부터 노년기 까지 6단계에 걸쳐 발달한다고 보았다. 커텔이 말하는 인간의 성격발달의 원인을 유전과 환경, 학습 그리고 사회적 맥락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전과 환경: 커텔은 특정 개인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 같은 환경적 요인이 성격발달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예를 들면, 키가 크다는 것은 유전적 영향을 받은 것인데 주 변 사람들이 유별나게 키가 큰 사람을 자주 언급하면 큰 키에 대한 그의 수줍음이 악화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 2022. 8. 10. 이전 1 2 3 4 5 6 7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