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9

아들러 개인심리이론 - 출현배경 아들러 개인심리이론의 출현배경 개인심리이론(Individual psychology theory)은 알프레드 아들러가 주창한 이론이다. 개인심리이론에서 개인은 영어로 'Individual'이며, 라틴어 'indivisible'에서 유래했다. 'indivisible'이란 단어는 in과 divide의 합성어로서, in은 '아니다(not).'라는 부정을 나타내며, divide는 '나누다, 쪼개다, 분리하다.' 등을 뜻한다. 따라서 '개인'이라는 단어는 '분리할 수 없는 존재'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아들러의 개인심리이론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과는 다르게 인간의 정신을 요소로 나누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전체로 보는 총체주의적인 입장을 취한다. 총체주의에서는 전체란 부분의 합 이상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보기 .. 2022. 7. 17.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 - 부적응의 원인 부적응의 원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에서는 부적응의 원인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인간의 정신에너지인 성 욕구를 적절하게 충족시키지 못하여 무의식에 억압되어 있는 경우에 부적응이 생긴다는 것이다. 프로이트는 5단계로 성격발달을 제시하였는데, 각 발달단계에서 성적 욕구가 적절하게 충족되지 않아 고착되면 성인이 된 후에 부적응적인 심리 증상이나 행동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다시 말하면, 고착은 어떤 발달 단계에 있었던 문제가 잘 해결되지 못한 것을 뜻한다. 예를 들면, 줄담배를 피우는 어른은 어릴 적 구강기 때 엄마의 젖을 마음껏 빨지 못하여 고착된 경우라고 볼 수 있다. 5세 이전에 경험한 트라우마가 있는 경우에 부적응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프로이트는 부모가 개인의 성격발달에 매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2022. 7. 16.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 - 불안, 자기방어기제 불안과 자기방어기제 프로이트가 설명한 정신현상 중 하나로는 불안(anxiety)이 꼽힌다. 프로이트는 신경증 환자들을 치료하면서 그들이 보이는 불안 증세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그 불안의 원인이 무엇인가에 대하여 연구했다. 그는 초기에는 불안이 성적 에너지가 억제되거나 성적 에너지를 적절하게 해소하지 못하기 때문에 일어난다고 보았다. 하지만 그는 연구를 계속하면서 불안의 원인이 자아의 기능에 있다고 함으로써 초기의 주장을 바꾸었다. 다시 말하면, 자아는 이드의 충동적인 본능과 완벽을 추구하는 초자아와의 갈등을 중재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이드와 초자아와의 갈등이 하나의 신호로 나타나는 것이 불안이라는 것이다. 불안이 언제 생기는 것인가에 대한 견해는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먼저 랭크는 인간이 출생 .. 2022. 7. 16.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 - 성격의 역동성, 정신현상 프로이트 정신석이론에서의 성격의 역동성과 정신현상 1. 성격의 역동성 프로이트는 인간을 에너지의 복합체로 간주하였으며, 인간 행동의 원천을 바로 이 에너지로 보았다. 이러한 에너지는 음식물을 통해 얻는데, 프로이트는 에너지 보존의 법칙을 적용하여 호흡과 운동 등에 사용되는 신체적 에너지가 사고와 기억 등에 사용되는 정신적 에너지로 전환될 수 있다고 보았다. 신체적 에너지와 정신적 에너지의 교량 역할을 아는 것이 바로 이드와 본능이다.본능이란 인간의 욕구에 때문에 생기는 흥분 상태를 충족하려는 갈망을 의미한다. 본능은 이드 속에 포함되어 있는 힘의 원천이다. 즉, 배고픈 사람은 음식을 찾게 되고, 음식을 먹음으로써 에너지가 만들어진다. 프로이트는 본능을 삶의 본능과 죽음의 본능 두 가지로 나누었다. 삶의 .. 2022. 7. 16.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 - 성격발달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에서의 성격발달 프로이트는 인간의 본능을 삶의 본능과 죽음의 본능으로 나누었다. 그는 삶의 본능 중 가장 중요한 본능은 성 본능이라고 하였으며, 이를 담당하는 성적 에너지를 리비도라고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리비도가 몰려 있는 신체 부위를 성감대라고 칭했다. 프로이트는 인간이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성감대가 달라진다고 보았으며, 성감대의 부위가 어느 곳인가에 따라 인간의 성격이 형성되는 시기를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잠복기, 성기기 등으로 나누었다. 정신적 결정론의 가정에 입각하여 프로이트는 생후 5세까지인 구강기, 항문기 및 남근기를 성격 형성의 결정적 시기로 보았다. 프로이트는 성격발달을 다섯 단계로 구분했으나, 한 단계에서 다른 단계로 넘어갈 때 명확한 단절이나 갑작스러운 변화.. 2022. 7. 16.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 - 이드, 자아, 초자아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에서의 이드, 자아, 초자아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격을 구조화 하면서, 이드와 자아, 초자아 세 가지 구조의 역동이 인간의 성격을 구성한다고 보았다. 그는 본능적인 이드, 현실적인 자아, 그리고 도덕적인 초자아 중에서 어떤 성격 구조가 우세하는가에 따라 성격이 다르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예를 들면, 이드가 강한 사람은 매우 충동적이며 쾌락을 좇는 성격이 나타나고, 자아가 강한 사람은 현실에 잘 적응하는 성격이 나타나며, 초자아가 강한 사람은 매우 금욕적이고 도덕적인 성격이 나타날 수 있다. 프로이트가 제시한 성격의 세 가지 기본 구조 -이드, 자아, 초자아- 는 실제 성격의 구조를 나타내기보다는 '가설적 구조'로 이해해야 한다.실제로 중추신경계 내의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 2022. 7. 16.